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정보, 채굴 등

그래픽카드 써멀패드, 써멀구리스 교체하기 1/2 (게이밍 PC로 비트코인을 채굴해보자 #8)

by Starliner 2021. 3. 2.

하... 미루고 미루다가... 작성하게된다.

 

작업 전 벤치온도는 아래와 같다.

(3DMark 스트레스테스트중 가장 높은 온도를 찍음.)

아니 무슨 게임 돌리는데 온도가 100도까지 찍냐...

그동안 게임할때도 계속 무리했다는거,...

 

자, 바로 분해시작!

 

나사를 풀어주자.

나사 크기고 뭐고 그런거 잘 기억 못해서, 저 글카를 세운 모습이라고 가정,

나사의 위치대로 그대로 배치해서 나중에 조립때 용이하도록 조치

열면서 저쪽 선을 뽑아줘야한다.

내가 분해할때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난관이다.

어댑터(?)부분을 빼는 방법을 조치완료한 지금도 모른다...

그냥 뺏다...

게다가 잘못 빼면 어댑터와 선이 고대로 잘릴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뺄 방법은 모르는데 잘못빼면 선이 고대로 잘려버림... ㅋㅋㅋㅋ

 

개봉!

개봉때는 저 부분이 닿지 않도록 조절해줘야한다.

건드리게되면 고대로 써멀패드가 찍히게되고, 교체수요가 또 생긴다.

교체비용은... 상당한 부담이니 조심

 

두 어댑터를 뽑아주고, 어디에 연결된건지 잘 기억해줘야한다. 

꼬이게되면 고대로 고장나버릴수도 있으니 특별히 주의해서 기억해야한다.

점스티커로 하나는 빨간색 스티커 하나는 노란색 스티커 이런식으로 붙여놓는것도 좋을것같다.

나는 그냥 기억할수있을것같아서 안함.

저부분이 정말 살벌했다.. 유튭에서 봐도 저것까지 총 2위치 어댑터를 분리해주는데,

나도 그것처럼 하려고했다가 고대로 100만원돈 날릴뻔했다.

아까 분리했던 어댑터와 같은것같은데 이상하게 분리가 안된다...

계속 시도하다가... 와 이거 좀 쎄한데 느낌들어서 보니 이미 한곳이 들려있다;;;

바로 중지하고 일단 GPU를 개방했으니, 저 선만 유지해서 조치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개방(?) 후 모습이다.

패드에 기름기가 많은 모습이고,

아까 내가 경고했던대로 분해시에 끝부분이 닿아버려서 저렇게 찍히고, 패드가 닳아있는게 보인다.

 

기판에 있는 기름기를 알콜솜으로 제거해주기.

써멀구리스도 닦아준다.

메모리부분에 붙일 써멀패드, 기존에 붙어있는 써멀패드 길이를 재고, 그대로 그려준다.

(아이스버그 2mm)

 

크기맞는지 다시 확인하고 배치한다.

까보니까 써멀패드를 어느 위치에, 어떤 크기로 배치하는지 대략적인 표시가 되어있다.

이걸 모르고 진행해서, 기존의 길이가 늘어난 패드기준으로 잘랐다.

사실 별 차이는 없을것이다.

이제 백플레이트에 써멀패드를 붙일 차례이므로,

백플관련 나사를 분리해준다.

(마찬가지로 위치를 중심으로 보관)

이것 역시 분리할때 관련 어댑터를 분리해줘야한다.

아마 LED관련인듯. 

각도가 너무 안나와서. 그냥 선잡고 빼려고 당겼더니 의외로 쉽게 분리됨.

와... 긱바 양아치놈들...

백플레이트쪽 메모리 써멀패드는 안넣고, 그냥 '여기에 설치해라'라고 표시만 해놨네 ㅋㅋㅋㅋㅋ

안그래도 초저가 싸구려 써멀패드를 붙여놓으니까 사제로 교체하는건데,

그 싸구려조차 아끼려고 고걸 안붙이네... 

이거 120. 현시세 200 바라보는 글카야... 말이 되냐..

위에서 붙인 메모리 써멀패드와 같이 잘라서 붙여준다.

그리고 백플 조립하면 여긴 끝

(오디세이 3mm)

여기에도 비닐 제거해주면서 패드 붙여주기

짜잔

GPU 코어 써멀구리스는 그리핀Z9를 가져왔다.

엄청나게 많이 짜버렸다...

뭐 CPU써멀처럼 넘치면 ㅈ되는건 아니라서 ㄱㅊ하긴 한데 아무리그래도 너무 많이 바른것같긴 하다.

다시 붙이는 과정. 먼저 분리된 어댑터부터 연결해준다.

이후 아주 잘... 붙여준다... 나사위치를 참고해서 방금 바른 써멀구리스가 정확한 위치에 붙도록 해야한다.

 

다시 나사를 풀렀던 위치대로 다시 나사를 조여준다.

이때는 코어를 기준으로 대각선방향으로 나사를 배치하고, 조여주면서 자연스럽게 써멀구리스를 눌러준다.

나사취급은 항상 조심... 

기존에 붙어있는 메모리 써멀패드는 이후 A/S에 필요하니 잘 조치해서 보관한다.,

온도조치 결과.

메모리온도는 80도로. 이제 양호한 수준에서 게임플레이가 가능해졌다.

다만, 코어온도는 5-6도가량 더 올랐다.

 

방열판쪽으로 해소되는 열이 더 많아져서 그런건가??

다시 분해하기로 했다...